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독수리

독수리 새끼를 훈련하다



반응형

 

독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조류이며 우리나라. 티베트. 중국. 몽고. 만주 등지에 분포하는 겨울새로,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 태인. 정읍. 목포 등에서 채집되었고 몸길이는 1∼1.5m에 달하며 수리류 중에서 가장 크며 가장 강한 맹금류입니다.
몸 전체가 균일한 암갈색이며, 정수리와 윗목에는 털이 없고, 목 주위에는 특이한 깃이 있습니다. 초원지대.고산지대.강하구를 근거지로 단독 또는 암수 한 쌍이 생활하는 경우가 많으며, 짐승의 시체나 병들어 죽어가는 짐승 등을 먹이로 합니다. 날 때는 폭이 넓고 긴 날개를 직선에 가깝게 쭉 펴고 날아오르며, 날개를 편 채 기류를 이용하여 날아다닙니다. 산란기는 2∼4월이며 산란수는 1개이며 포란일 수는 52∼55일이고 부화한 지 4개월이 지나면 날 수 있다고 합니다.

 

 

 

용맹스럽고 잔인한 것 같은 인상과는 달리 몸이 둔하여 살아 있는 동물의 포획에는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본종은 1973년에 검독수리.참수리.흰꼬리수리 등과 함께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하여, 보호되고 있습니다.
둥우리는 수목이나 암벽 등 높은 곳에 나뭇가지를 많이 쌓아서 큰 접시 모양으로 만듭니다.
또한 멀리 보기위해 높은 곳에 보금자리를 만드는 습성이 있습니다. 보금자리 또는 둥지는 대개 높은 나무에 있거나 절벽이나 바위 협곡의 바위 위에 있고 보금자리는 해가 지나면서 높이가 무려 2미터로 커지기도 하며, 어떤 독수리의 보금자리는 무게가 무려 1톤이나 된다고 합니다.

 

 

 

독수리의 날개

 

비행 능력에 대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독수리가 나는 속도가 시속 130킬로미터가 넘는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런 독수리를 이렇게 평하기도 합니다. 부(富)가 하늘로 날아가려 하는 독수리처럼 인생이 신속히 지나가는 것을 한탄하면서 그것을 먹이를 찾아 날아다니는 독수리 비행 속도에 비하기도 합니다.

그러한 독수리가 새끼를 훈련하는데 특별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독수리 새끼가 날기 시작할 때가 되면, 어버이 독수리는 자기 날개를 퍼덕이고 펄럭거려서 새끼에게 날아 보도록 자극을 한 다음 보금자리 밖으로 몰아내거나 유인해서 날개를 사용해 보게 합니다. 아직 나는 법을 모르는 독수리 새끼는 어설픈 날갯짓을 계속하지만, 결국은 아래로 곤두박질을
치게 됩니다. 새끼 독수리들이 바닥에 떨어지려는 찰나, 공중을 선회하던 어미 독수리가 큰 날개를 펴서 땅에 닿기 직전의 새끼를 자신의 날개로 받아냅니다. 어미 독수리는 그런 과정을 반복하는 사이에 새끼 독수리는 날개를 퍼덕거리면서 자연스럽게 나는 법을 배운다고 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독수리가 실제로 새끼를 등에 태워 나르는가에 대해 의문을 품었지만, W. B. 토머스 경에 의하면 스코틀랜드의 한 안내인은 검독수리에 관하여 “어버이 새가 재촉하고 때때로 새끼를 공중으로 떼민 후에 밑으로 빠르게 하강하여, 바동거리는 새끼가 자기 날개와 등 위에서 잠깐 동안 쉬게 할 것”이라고 증언하였다고 합니다.


그와 관련하여 미국의 한 관찰자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어미는 바위의 보금자리에서 시작하여, 새끼를 거칠게 다루면서 새끼가 27미터 정도나 떨어지게 하였다. 그런 다음 어미는 날개를 펴고 새끼 아래로 급히 하강하였으며 새끼는 어미의 등에 내려앉았다. 어미는 새끼를 데리고 산꼭대기까지 높이 솟아올라 가서 이 과정을 되풀이하곤 하였다.” G. R. 드라이버는 이러한 진술에 대해 이렇게 논평하였다. “따라서 묘사는 단순한 상상 속의 비행이 아니라 실제 사실에 근거한 것이다"라고 전해주고 있습니다.

 

 

 


얼핏 보면 맹금류이기 때문에 사납고 매섭고 거칠기만 할 것 같지만 새끼를 훈련하는 데 있어서 다른 면모를 볼 수 있습니다. 새들은 새끼들에게 정기적인 식사를 마련해 줄 뿐 아니라, 수컷이 둥지로 고기를 가져오면 어미 새는 새끼 독수리들이 삼킬 수 있도록 조심스럽게 고기를 잘게 찢어 줍니다. 대개 벼랑이나 높은 나무 위에 둥지를 틀기 때문에, 새끼들은 악천후에 노출되어 있어서 부모의 보살핌이 없다면 새끼들은 죽을 수도 있습니다. 부모 독수리는 연약한 새끼들에게 그늘을 만들어 주기 위해, 때로는 몇 시간씩 날개를 펼치고 있습니다. 우리의 생각과는 다르게 사랑이 넘치는 모범적인 부모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바닥으로 추락하던 새끼 독수리가 스스로 나는 법을 터득하며 성장한 것은 우리에게도 일상적일 것입니다. 삶에서도 굽이굽이 넘어야 할 장애들을 만나지만 이때, 시련에 대해서 취해야 할 우리의 몫이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합니다. 결코 즐겁지 않은 시련이지만 그 시련을 맞서는 것은 두려움이 아니라 우리의 용기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때문에 그 용기를 가르치는 것이 독수리가 새끼에게 보여주는 혹독한 가르침일 것입니다. 따라서 시련을 담대하게 맞설 때 우리의 성장은 이미 시작일 것입니다.

 

 

 



우물#(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