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 육/고사성어 모음

관포지교 '管鮑之交' 뜻과 유래[친구사이고사성어]



반응형

요 점


중국에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이 얼마나 돈독했던지 "나를 낳은 이는 부모님이지만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이다" 라고 유명한 말을 남길정도의 두사람 사이에 우정은 매우 깊었습니다. 영원히 변치않은 친구관계와 인간관계의 중요성 상대방을 잘 알고 이해하 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고사성어 지요. 그래서 친구사이의 다정하고 허물 없는 우정 을 뜻할때 "관포지교"라는 고사 성어를 사용 합니다.

관포지교 뜻

管 : 대롱 관

鮑 : 절인고기 포

之 : 갈 지

交 : 사귈 교

 

 

관중하면 언제나 그림자처럼 뒤따르는 이름 하나가 있는데 바로 포숙아라는 인물이지요.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 사귐이란 뜻으로 친구를 아끼고 이해하는 두터운 우정 을 말합니다.

 

관포지교 유래


춘추시대 제(齊)나라에 관중과 포숙이라는 두 인물이 있었는데 그 둘은 둘도 없는 친구 사이였습니다. 관중과 포숙은 벼슬길에 올랐 으나 각자 다른길은 가게 되지요. 관중은 제나라 군주인 양공(襄公)의 공자(公子) 규(糾)의 보좌하게 되었고, 포숙아는 규의 이복 동생 소백(小白)을 섬기게 되었지요.

 

당시 제나라는 폭군 양공으로 인해 혼란에 빠져 있었습니다. 결국 공자 규는 관중과 함께 노나라로 망명했고 규의 동생인 소백은 포숙과 함께 거나라로 망명하게 되지요. 이후 양공이 권력 쟁탈전 끝에 살해되고 나라는 혼란이 계속되어 군주의 자리가 비게 됩니다.

 

 



두 공자는 왕위를 둘러싸고 격렬히 대립하는 바람에 관중과 포숙아는 본의 아니게 적이 되버렸습니다. 그러자 두 공자는 서로 왕위 에 오르기 위해 서둘러 귀국길에 오르고 형인 규는 관중을 보내 귀국길에 오른 소백을 암살 하도록 하고 느긋하게 귀국길에 올랐습니다. 그러나 소백은 천만다행으로 관중이 쏜 화살 이 허리띠에 맞아 목숨을 구했고 부랴부랴 귀국해 군주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지요.

 

 

 

 

결국 아우 소백에게 잡힌 규는 자결하였고 관중은 사형 집행을 눈앞에 두었습니다. 이때 포숙이 나서서 소백에게 말하지요. “전하, 전하께서 제나라에 만족 하신다면 신(鮑叔)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그러나 천하의 패 자가 되고자 하신다면 관중 외에는 인물이 없을 것입니다. 부디 그를 등 용하십 시오.” 결국 관중은 자신이 죽이 려던 자 휘하 에서 재상이 되었지요.

 

광고3

 

 

그 후 관중은 사람들에게 말했지요.
“일찍이 내가 가난할 때 포숙과 함께 장사를 했는데 이익을 나눌 때 나는 내 몫을 더 크게 했지만 포숙은 나를 욕심쟁이라고 말하지 않했던 것은 내가 가난함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내가 사업을 하다가 실패하 였으나 포숙은 나를 어리석다고 말하지 않았 다. 세상 흐름에 따라 이로울 수도 있고 그렇 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내가 세 번 벼슬길에 나아갔다가 번번이 쫓겨났 으나 포숙은 나를 무능하다고 말하지 않았다. 내가 시대를 만나지 못했음을 알았기 때문이 다. 내가 싸움터에 나가 세 번 모두 패하고 도망쳤지만 포숙은 나를 겁쟁이라고 비웃지 않았다. 내게 늙으신 어머니가 계심을 알았기 때문이다.”라고 포숙의 어짐과 너그러움을 칭찬하면서 이런말을 남겼다고 합니다.

 

 

 

"나를 낳은 이는 부모님이지만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이다(生我者父母 知我者鮑叔兒也)" 정말 감동적인 말이지요.


이후 관중의 보좌를 받은 소백은 제 환공에 올라 춘추5패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관중(管仲)은 태공망, 제갈공명과 더불어 역사상 가장 뛰어난 명재상으로 손꼽힐 정도로 뛰어난 능력과 업적을 남긴 정치가가 됩니다.

여러분 !
지금 주위에 포숙처럼 나를 알아주는 친구가
몇명이나 되시나요 ? 아니 내가 포숙처럼 알아줄수 있는 친구가 몇명이나 되세요?

한 평생 살면서 이런 친구가 1명이 있다면 성공한 인생이라고 하지요. 좋은 친구를 기다 리는 것보다 스스로 누군가의 친구가 되었을 때 훨씬 행복하다고 합니다. 이제 2022년이 시작되는데 관포지교의 고사성어를 새기 면서 찐한 우정을 나눌 친구를 만드는 것은 어떠세요?




우물#(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