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사자성어]함흥차사 (咸興差使) 뜻과 유래 “함흥”은 지역이고 “차사”는 벼슬 이름입니다. 조선 초 태조 이성계를 모시러 함흥에 갔다 돌아오지 않은 사신을 가리키는 말로 심부름을 간 사람이 소식이 아주 없거나 또는 회답이 좀처럼 오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함흥차사의 뜻 咸: 다 함 興: 일어날 흥 差: 보낼 차 使: 사신 사 조선 건국 초기에 있었던 야사에서 비롯된 사자성어입니다. 그래서인지 고사성어 중에 가장 흥미진진한 유래를 가지고 있지요. 태조 이성계는 정도전에 의해 고려를 박살내고 조선을 건국하여 임금이 되었습니다. 태조는 두 부인의 사이에 8명을 아들을 두었으니 누구에게 임금 자리를 넘겨 주느냐로 태조는 머리가 아팠지요. 결국 1398년에 왕자의 난에 태조 이성계는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고향인 함흥으로 떠나게 되지요. 형제들을 .. 더보기 고사성어 근묵자흑 (近墨者黑) 뜻과 유래 먹을 가까이 하다보면 자신도 검어진다는 뜻으로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한 말입니다. 훌륭한 스승을 만나면 스승의 행실을 보고 배움으로써 자연스럽게 스승을 닮게 되고, 나쁜 무리와 어울리면 그릇된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비유의 고사성어입니다. 근묵자흑 뜻 近 : 가까울 근 墨 : 먹 묵 者 : 놈 자 黑 : 검을 흑 맹모삼천지교의 교훈과 여러모로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지요. 맹자의 어머니는 교육을 위해 환경을 신경쓰는 어머니의 사랑과 그 좋은 환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교훈이 담겨 있고 그 환경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하기도 합니다. 성경 잠언13;20 “지혜로운 자와 동행하면 지혜를 얻고 미련한 자와 사귀면 해를 받느니라.” 여기서 ‘함께 동행’한다는 것은 누군가와 시간.. 더보기 [사자성어]후안무치(厚顔無恥)뜻과 유래 후안무치(厚顔無恥) 뜻 厚: 두터울 후 顔: 얼굴 안 無: 없을 무 恥: 부끄러울 치 후안’厚顔’ 얼굴이 두껍고 무치‘無恥’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뜻이지요. 실제로 우리는 뻔뻔하고 창피함을 모르는 ‘후안무치’한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보게 됩니다. 어디를 가나 예의가 없고 겸손하지 않은 사람들은 얼굴이 두꺼워 창피함을 모르지요. 우리 속담에 ‘벼룩도 낯짝이 있다’는 말이 있는데 후안무치한 사람들은 얼굴이 두껍기 때문에 낯짝이 없어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후안무치 유래 후안무치의 유래는 중국 하나라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계왕의 아들 태강은 정사를 돌보지 않고 사냥만 하다가 쫓겨나 비참하게 죽게됩니다. 이에 그의 다섯 형제들은 나라를 망친 형을 원망하다가 다음과 같은 노래를 불렀다고 하는데요. '만백성들.. 더보기 상생 소비 지원금 서두르세요 상생 소비지원금 코로나 상생 소비지원금이란? 상생 소비지원금 신청하세요! 라는 문자를 받았네요. 정부에서 여러차례 지원금이 나오다 보니까 좀 헷갈리는 분도 계시는것 같아서요 상생 소비지원금은 5차 상생지원금과 다른 내용이어서 소개드립니다. 상생 소비지원금이란 무엇인가? -2021년 2분기(4~6월) 평균 이용금액보다 3% 초과한 카드 이용금액의 10%를 지원금(최대 20만원)으로 환급해주는 정부 정책입니다. (결국 카드사용이 많아야 혜택을 받을수 있는거네요) --시행기간 2021,10.1(금)부터 2개월 간 시행 *재원 소진 시에는 조기 종료될 수 있음 (가능한 빨리 알아보시고 신청 하셔야 겠네요) --참여대상 만 19세 이상(2002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이고, 21년2분기(4~6월)중 본인 명.. 더보기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 대답 뜻과 유래 우문현답(愚問賢答) 뜻 愚: 어리석을 우 問: 물을 문 賢: 어질 현 答: 대답할 답 사전적 정의는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답을 하다’입니다. 또 문제의 본질을 모르는 질문에 문제의 핵심을 제대로 찾아내는 대답을 할때도 쓰입니다. 흔히 말하는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듣는다도 좀 다르긴 하지만 비슷한 부류에 속합니다. 추상적인 질문을 자기 어필에 잘 이용하는 것도 우문현답의 일종이며 면접을 치를 때 중요한 덕목입니다. 더보기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