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 육/사자성어 모음 썸네일형 리스트형 '십시일반' 뜻과 유래 <함께라면 ^*^>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 여러명의 친구들이 한숫갈씩 덜어낸 한 그릇 의 밥을 못싸온 친구와 함께 먹었다는 학생시 절의 미담들을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바로 이런 상황을 사자성어로 '십시일반(十匙一飯)' 이라고 말합니다. 사실 한 친구와 도시락을 반반씩 나누어 먹었 다면 한 교시가 끝나면 둘다 배고프지요. 하지만 여러 친구들이 한 숟갈씩 덜어내는 것은 큰 부담이 되지 않으면서 친구도 배부르 게 먹을 수 있습니다. 참 아름다운 미담이지 요. 그런 도움을 받은 친구는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어떠한 방법으로든 소싯적의 신세를 갚으려 합니다. 따뜻한 관계가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기쁘게도 요즘은 그런 미담들이 국제적으로 일어나고 있지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난민들에게 따뜻한 손 길들이 이어져 훈훈한 소식을 들을 .. 더보기 코로나 전용 '사필귀정' (事必歸正) - 뜻 사랑하는 사람들을 못만난지가 벌써 2년이 되었네요. 줌이라는 프로가 있다는것을 몰랐 는데 코로나 덕분에 줌에서 만나 수다도 떨고 각자가 준비한 맛있는 것도 먹으면서 교제도 합니다. 죽으란 법은 없나봐요. 친구의 소중함을 절실히 느끼는 계기가 되었 지만 그래도 코로나는 하루빨리 끝나기를 기 다립니다. 그런데 코로나로 이어지는 변종바이러스는 모두를 불안하게 하고 있는데 지금은 우미클 론이 전세계를 긴장시키고 있네요. 뉴스를 보면 약간 누그러진 분위기가 느껴지기도 하는데 어쨋든 하루빨리 끝났으면 하는 바램 입니다. 전세계의 모두가 느끼는 감정이리라 생각해요. 이럴때 떠오르는 사자성어가 있지요. 저는 사필귀정(事必歸正) 이 떠오르네요. 오늘 날 코로나에 맞춤 사자성어가 아닐까 싶어요. 사필귀정 (事必歸正) 事(.. 더보기 [2]사자성어 퀴즈 초성게임^^(답안지)결자해지"結者解之" 1단계 답안지 1. 일구이언 [ 一口二言 ] 2. 작심삼일 [ 作心三日 ] 3. 일심동체 [ 一心同體 ] 4. 팔방미인 [ 八方美人 ] 5. 풍전등화 [ 風前燈火 ] 6. 일조일석 [ 一朝一夕 ] 7. 문일지십 [ 聞一知十 ] 8. 선견지명 [ 先見之明 ] 9. 청산유수 [ 靑山流水 ] 10. 감언이설 [ 甘言利說 ] 많이 맞추셨나요? ㅉㅉㅉ 이단계입니다. 2단계 답안지 1. 목불식정 [ 目不識丁 ] 2. 우유부단 [ 優柔不斷 ] 3. 확고부동 [ 確固不動 ] 4. 우공이산 [ 愚公移山 ] 5. 절차탁마 { 切磋琢磨 } 6. 고진감래 [ 苦盡甘來 ] 7. 청렴결백 [ 淸廉潔白 ] 8. 일편단심 [ 一片丹心 ] 9. 함흥차사 [ 咸興差使 ] 10. 용두사미 [ 龍頭蛇尾 ] 고생하셨습니다. ㅉㅉㅉ 결자해지'.. 더보기 [1]사자성어 퀴즈 초성게임 ^^ 일상생활에서 학생도 엄마 아빠도 직장인도 모두가 필요한 게 사자성어, 고사성어이지 요. 그런데 한자[漢字]라서 어려워 하시는 분들이 아주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사자성어와 좀 쉽게 가까워 질수 있 게 간단히 풀어볼 수 있는 사자성어 초성 게임을 해보려고 합니다. 단계별로 나누에 봤어요. 자신에게 맞는 레벨 찾아보세요. 1단계 1. 한입으로 두말을 하여 이랫다 저랫다 일관성이 없이 말한다는 뜻 (ㅇ 구 ㅇ 언 ) 2. 마음을 먹은지 3일을 넘기지 못하고 결심 한 것을 포기한다는 뜻 ( ㅈ 심 ㅅ 일 ) 3. 마음과 몸이 하나라는 뜻 ( 일 ㅅ ㄷ 체 ) 4.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 ( ㅍ 방 미 ㅇ ) 5. 바람 앞에 등불 아슬아슬한 위기를 말함 ( ㅍ 전 ㄷ 화 ) 6. 하루아침 하루 저녁처럼 아주.. 더보기 [사자성어] 조삼모사 '朝三暮四' 뜻과 유래 요 점 조삼모사는 주인과 원숭이가 식사량을 정하는데 주인의 꾀로 인해 원숭이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 합일점을 찾게 됩니다. 글자대로라면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라는 뜻이지만 전체의 내용을 보면 문제의 핵심보다는 단순하게 눈에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주인의 꾀로 원만한 해결을 하게 됩니다. 조삼모사 뜻 朝: 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물 모 四: 넉 사 원숭이의 식사로 도토리를 주는데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준다니까 싫어하고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준다니 만족해하는 즐거운 우화입니다. 원숭이는 근시안적인 생각으로 우선 4개를 먹을 수 있는 아침이 훨씬 더 이득이라고 생각하지만 결국은 하루에 식사하는 양은 똑같은 7개입니다. 이처럼 주인의 꾀로 인해 둘 다 만족해하는 결과를 얻게 되.. 더보기 우문현답(愚問賢答) -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 대답 뜻과 유래 우문현답(愚問賢答) 뜻 愚: 어리석을 우 問: 물을 문 賢: 어질 현 答: 대답할 답 사전적 정의는 '어리석은 질문에 현명한 답을 하다’입니다. 또 문제의 본질을 모르는 질문에 문제의 핵심을 제대로 찾아내는 대답을 할때도 쓰입니다. 흔히 말하는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듣는다도 좀 다르긴 하지만 비슷한 부류에 속합니다. 추상적인 질문을 자기 어필에 잘 이용하는 것도 우문현답의 일종이며 면접을 치를 때 중요한 덕목입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