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구팽(兎死狗烹) 한자
兎: 토끼 토
死: 죽을 사
狗: 개 구
烹: 삶을 팽
토사구팽 뜻
'사냥개로 토끼를 잡고 나면 토끼를 잡아온 사냥개도 삶아먹는다'라는 뜻으로 필요할 땐 이용할 만큼 이용해 먹고 난 뒤 필요가 없어지면 야박하게 버린다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단물만 빼먹고 버리는 것을 뜻합니다. 교토사양구팽, 교토사 주구팽의 준말입니다. 요즘에 우리가 종종 얘기하는 "팽당한다"라는 표현이 바로 이것을 줄여 말하는 표현입니다.
토사구팽 유래
한고조 유방이 초패왕 항우를 꺾고 천하를 차지한 데는 한신의 눈부신 활약이 있었습니다. 항우를 멸망시킨 후에 유방은 한신의 군사를 빼앗고 초왕(楚王)으로 봉했습니다. 그런데 과거 항우의 수하로 함께 있었으며 평소 친하게 벗으로 지냈던 종리매가 한신에게 몸을 의탁하러 옵니다. 평소 유방은 종리매에게 여러 차례 괴롭힘을 당해 그를 증오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방은 초나라에 칙명을 내려 종리매를 잡아 압송할 것을 요구합니다. 한신은 차마 친구를 사지에 보낼 수가 없어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는데 어떤 사람이 한신이 종리매와 더불어 모반을 꾀한다고 모함을 합니다. 천하 명장인 한신을 무력으로 진압하기 쉽지 않다고 생각한 유방은 진평의 계책에 따라 운몽으로 제후 들을 회동시켰습니다.
한신은 종리매와 이 일을 상의하게 되는데 종리매는 “한나라가 초나라를 공격하지 못하는 것은 내가 공에게 있기 때문이오. 만일 유방의 말대로 나를 잡아 한나라에 잘 보이려고 한다면 내가 오늘 죽으면 공도 곧 뒤따라 망할 것이오.” 라고 말한 후 한신에게 “당신은 장자(長者)가 아니오.”라고 꾸짖으며 스스로 목을 찔러 자결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한신은 유방에게 종리매의 목을 바쳤지만 그 자리에서 체포되었고, 간신히 죽음만 면한 채 회음 후로 강등시킵니다. 하지만 결국 유방은 곧바로 한신을 포박하여 처형을 시키게 됩니다. 바로 이때 한신은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좋은 사냥개가 삶기고 높이 나는 새가 사라지면 좋은 활도 감춰진다"라고 한신이 자신의 심정을 표현한 의미심장한 유언이었습니다.
교활한 토끼(항우)를 잡기 위해 충성스러운 명견(한신)은 주인 사냥꾼(유방)의 뜻에 따라 힘들고 어려운 추격 끝에 결국 토끼를 잡았지만 토끼를 잡은 사냥꾼은 할 일이 없어지자 자신의 충견을 삶아 먹는다는 이용만을 당한 충신의 심정을 드러낸 말입니다.
토사구팽 근대
조선의 3대왕 태종의 셋째 아들 세종이 즉위 하고 아버지 태종은 숙청의 칼을 빼 들었는데 숙청의 대상은 다름 아닌 외척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아들 세종의 아내 소현왕후 심씨 (며느리)의 일가를 털어버릴 계획을 세우게 되지요. 여기서 태종이 없었다면 세종대왕의 업적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원래 국가를 건설하면 엄청난 공신들이 탄생하고 이 공신, 종친, 외척들은 왕권을 위협하고 권력을 탐하는 세력이 되지요.
국가를 건설하고 공신을 숙청하는 과정은 모든 국가에서 볼 수 있는 절차입니다.
한나라 (유방)이 토사구팽을 통해 (한 무제) 가 존재하였고 고려는 (광종)의 정책으로 (성종)이 나올 수 있었고 조선은 (태종)의 공신 숙청을 통해 중앙집권과 강력한 왕권을 기틀로 (세종)이 존재할 수 있었습니다.
개개인에게 있어서 토사구팽은 어떨까요? 누군가를 필요로 해서 함께 하다가 일이 마무리되니까 둘 관계도 남남처럼 깔끔하게 마무리 한다면 어떨까요? 반드시 필요한 사람이어서 함께 했는데 하고자 한 목적이 이루어졌으니 더 이상 이용할 가치가 없어졌다면 어떨까요? ㅠ 토사구팽은 너무 슬픈 일이지요~ 혹시 “토사구팽”이라는 고사성어를 떠올리자 생각나는 친구가 있나요? 또 다른 친인척이 있나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정서가 많이 메말라 있습니다. 갈수록 사람과의 부딪침이 줄어들고 개인주의나 개성과 자유를 우선시하다 보니 정(情)을 찾아보기가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삭막해지고 있는 세상에 토사구팽이 있어서는 절대 안되겠습니다.
우물#(정)
'교 육 > 고사성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면초가(四面楚歌) 뜻과 유래 (0) | 2021.10.30 |
---|---|
"고사성어"다다익선(多多益善) 뜻과 유래 관련된표현 (0) | 2021.10.29 |
[사자성어]일취월장(日就月將) 뜻과 유래 (0) | 2021.10.26 |
[사자성어]수불석권(手不釋卷)뜻과 유래 (2) | 2021.10.21 |
[사자성어]함흥차사 (咸興差使) 뜻과 유래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