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 육/고사성어 모음

"고사성어"다다익선(多多益善) 뜻과 유래 관련된표현



반응형

 

◇ 다다익선 머릿글

많을수록 좋은게 뭐라고 생각하세요?.
이글을 포스팅 하면서 생각해보니까 많을수 록 좋은게 돈 이나 물질적인거 외에도 참 많 다는걸 알 수 있었어요. 우선 친구는 많을수 록 좋지요. 주어지는 기회 역시 많을수록 좋고 지식도 많을수록 좋지요. 노력은 많이 할수록 결과 좋으니까 당연히 좋을 것이고 그 외에도 많을수록 좋은것은 부지기 수로 많더 라구요. 무엇보다 오늘날 가장 필요한 다다익 선은 사랑(아카페)이 아닐까 싶네요. 사랑이 많다면 사회적으로 도덕적이지 못한 일들은 일어나지 않을것이고 그러면 사회 분위기가 좀더 살만한 세상으로 바뀔테니까 아카페 사랑은 많을수록 좋겠습니다.

 

 

 

다다익선 뜻

 

多: 많을 다

 

多: 많을 다

 

益: 더할 익

 

善: 착할 선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는 뜻입니다."


◇ 관련된 표현

다다익선의 파생된 신조어로 대대익선《大大益善》은 '크면 클수록 이득이다' 라는 의미가 있고요.
다다익선을 중국어로《多多益办》이라고 사용하지요.
다다익선의 반대의 뜻 소소익선《 小小益善》은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의미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작을수록 좋은것은 말이 아닐까 싶네요. 말이 너무 많으면 실수가 많아서 안 좋지요. 듣는사람이 피곤할수 있고 전달자(말 질)의 역할이 될수도 있고요. 그래서 눌언민행《訥言敏行》 '말은 더디하고 행동은 빠르게 하라'는 사자성어도 있잖아요. 상황에 따라 좀 다를수 있지만 어쨌든 말이 많은 것은 득보다 실이 많습니다.


다다익선 유래


옛날 중국 한나라를 세운 유방은 항우를 물리치고 전국을 통일했습니다. 유방은 한신이라는 신하의 도움을 많이 받았지만 원래 한신은 초나라의 항우를 섬겼습니다. 그런데, 항우는 한신을 몰라보고 그를 중용하지 않자 한신은 항우를 떠나 한나라 유방 밑으로 가게 됩니다.
한나라에서 유방은 한신의 능력을 알아보고 그를 등용시켰지만 유방의 진영에서도 인정 받지 못하자 유방의 오른팔격인 소하가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유방에게 추천하여 대장군 에 임명됩니다. 한신은 유방을 도와 위, 조, 제를 물리치고 한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는데 아주 큰 공을 세웠습니다. 소하의 추천은 크게 한몫을 한것이지요.

그렇게 유방은 중국을 통일했고 한신은 초왕 에 봉해졌습니다. 하지만 유방은 한신이 항우의 밑에 있던 사람이었고 제나라를 공격 했을 때는 스스로 제왕에 즉위하기도 했으며 한신의 능력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가 앞으 로 위협적인 존재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습 니다. 그래서 유방은 기회를 보다가 한신의 왕권을 박탈하고 회음후로 좌천시켰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유방과 한신이 여러 장군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되었는데 이때 유방이 한신에게 자신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나는 어느 정도의 군대를 거느릴 수 있겠는가?" 한신이 대답합니다
"폐하께서는 10만명쯤은 거느릴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자 유방이
"그렇다면 한신 그대는 어떠한가?"라고 묻습니다. "저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라고 대답합니다.

그러자 유방은 기가 막혀 큰소리로 웃으며 다시 묻기를 "그렇다면 어찌하여 그대는 10만 장수밖에 안 되는 내 밑에 있는 것인가?" 라고 묻자 "저는 병사의 장수이지만 폐하께서는 장수의 장수이기 때문입니다. " 라고 칭찬인것 같으면서도 칭찬이 아닌 것 같은 대답을 합니다.

 


한신은 이후 유방에게 지속적인 견제를 받고 결국 역모죄로 토사구팽 당하게 되지요. 유방을 황제의 자리에 올려놓은 한신은 결국 자신의 뛰어난 능력 때문에 죽음을 맞게 됩니다. 이렇게 다다익선은 두 사람이 서로 군사 능력을 자랑하는 대화에서 유래되었 습니다.

고사성어를 사용하면 유식해 보인다는 이야 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지금은 우리의 일상에 서 워낙 흔히 사용하고 있는 성어이다 보니 그다지 유식해 보이지는 않을 것 같네요. 다다익선은 사람이나 물건 돈 등등....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으로 아주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물#(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