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동주 뜻
吳 : 오나라 오
越 : 월나라 월
同 : 한가지 동
舟 : 배 주
오월동주는 오나라와 월나라는 하늘 아래 함께 할 수 없는 철천지 원수였는데 오나라와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탄다는 뜻입니다. 같은 배에 탓을때 폭풍이 불어 닥치면 서로 돕지 않으면 배가 뒤집힐 위기에 몰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같은 배를 탄 두 사람은 공동의 목적을 위해 서로 힘을 합쳐 사지에서 벗어나고자 어쩔수 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오월동주는 바로 이러한 상황을 빗대어 사지 에서는 원수지간이라도 힘을 합치게 된다는 뜻입니다.
오월동주의 유래
춘추시대 5대 강대국에 속했던 오나라와 월나라는 서로 국경을 맞대고 있었지요. 오나라의 합려와 월나라의 윤상은 서로 원한이 있는 사이였는데 윤상 죽고나자 그의 아들 구천이 오나라를 침략해서 합려를 죽이게 되지요. 후에 합려의 뒤를 이은 부차에게 다시 크게 패한 구천은 그 후로 오랫동안 복수를 위해 이를 갈았고 결국 오나라를 멸망시킵니다. 이렇게 서로 전쟁을 해 이기고 지고를 반복합니다. 무릇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은 서로 미워하나 그들이 같은 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 상황에서 풍랑을 만난다면 서로 구제함이 오른손 왼손의 관계 처럼 그만큼 합이 잘 맞을거라는 뜻이지요.
손무가 저술한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최선이라고 한 손자병법 구지편에서 이 구절 사자성어 ‘오월동주’가 시작되었는데 손무가 오와 월의 관계를 인용한 것은 그만큼 춘추시대 당시 오나라와 월나라의 관계가 좋지 않았음을 알수 있습니다. 손자는 전쟁터를 9가지 지역으로 정의하고 각 지역에 맞는 전술을 손자는 사지 에서의 싸움을 논하면서 오월동주 이야기를 합니다.
사지에서 장수의 용병술은 상산에 사는 큰 뱀의 몸놀림과 같아야 한다. 머리를 때리면 꼬리가 날아오고, 꼬리를 때리면 머리가 덤벼들며, 몸통을 치면 머리와 꼬리가 한꺼번에 덤벼든다. 이처럼 힘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 중요하다 라고 이야기합니다.
갑작스런 폭풍으로 배가 뒤집힐 위기에 놓인다면 그들은 서로 왼손과 오른손이 되어 필사적으로 돕지 않는다면 생명이 위태롭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죽을 각오로 단결된 병사들의 마음만이 사지에서 살 수 있는 방법이지요. 죽음을 각오하고 한 마음으로 싸워야지만 불리한 사지에서 살 수 있음을 오월동주를 예를 들어 이야기 한 것입니다.
성경의 오월동주
오월동주의 상황은 성경에도 나오지요?
1세기에 예수께 죄명을 씌우고자 빌라도는 예수를 심문하는데 예수가 죄를 지었다는 사실을 찾지못하지요. 그때 갈릴리 통치자인 헤롯 안티파스가 유월절 기간이라 예루살렘 에 와 있으므로 빌라도는 예수를 헤롯에게 보냅니다. 그러나 헤롯이 질문을 해도 예수께서는 아무 말씀도 하지 않으십니다. 실망한 헤롯과 군인들은 예수를 “모욕”하고 화려한 옷을 입히고 조롱합니다. 그런 다음 헤롯은 예수를 또다시 빌라도에게 돌려보냅니다. 헤롯과 빌라도는 원수 사이였지요. 하지만 예수의 죄목을 찾는데 있어서는 가까운 친구가 됩니다.
오늘날의 오월동주
또 다른 측면으로 오월동주가 시사하는 바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요. 오나라 월나라가 애초부터 원수지간은 아니었지만 세력을 늘리는 강대국이라는 공통점에서 오히려 서로 반목하게 되었고 원수가 되었지만 같은 배에서 풍랑을 만나게 될 때 한사람의 좌우 손의 관계로 만들게 됩니다. 그 상황 때문에 서로 원수가 되기도 하고 동료가 되기도 하니 영원한 아군도 영원한 적군도 없음을 보여줍니다. 비슷한 환경을 가진 우리는 언젠가 같은 처지에 놓일 때가 올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이처럼 인간에게는 언제 어디서나 환경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내가 다르게 보일수도 있겠지요? 어찌보면 변덕스러워 보이기도 하지만 목숨이 오가는 상황일때는 누구에게나 당연한 상황이 되기도 하겠습니다.
우물#(정)
'교 육 > 고사성어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유불급(過猶不及)뜻과 유래 (0) | 2021.11.30 |
---|---|
'와신상담'은 한자가 어려워서(臥薪嘗膽) (0) | 2021.11.13 |
양자강에 빠진 검 '각주구검' (刻舟求劍 ) 뜻과 유래보기 (0) | 2021.11.03 |
사면초가(四面楚歌) 뜻과 유래 (0) | 2021.10.30 |
"고사성어"다다익선(多多益善) 뜻과 유래 관련된표현 (0) | 202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