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 육

과유불급 "예문모음" 뜻과 유래 과유불급 뜻 過: 지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두가지 뜻으로 사용하지요 "넘치는 것은 부족함과 같다" 그리고 "넘치는것은 부족함만 못하다" 대부분 후자를 많이 사용합니다. 과유불급의 "예문" * 대부분 오지랖을 부리다 쫌 손해났을때 흔히 하는 말이지요 "넘치는것은 부족함만 못하지요." * 몸에 좋다고 건강식품 너무 많이 먹어 부작용 났을때 "넘치는 것은 안하니만 못 해요" * 심하게 다이어트하다 얼굴이 나이들어 보일때 "넘치는 것은 부족함만 못해요" * 큰 고기 잡는다고 깊은곳으로 가다가 낚시도구 빠졌을때 "과유불급 하셨고만" * 마라톤에서 쫌 앞서려다 지쳐 포기하게 될때 "넘치는 것은 부족함만 못해요" * 빨리가려고 갈지자로 운전하다 딱지 끊었을때 "넘치는 것은 부족함만 못해용.. 더보기
[사자성어] 조삼모사 '朝三暮四' 뜻과 유래 요 점 조삼모사는 주인과 원숭이가 식사량을 정하는데 주인의 꾀로 인해 원숭이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 합일점을 찾게 됩니다. 글자대로라면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라는 뜻이지만 전체의 내용을 보면 문제의 핵심보다는 단순하게 눈에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주인의 꾀로 원만한 해결을 하게 됩니다. 조삼모사 뜻 朝: 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물 모 四: 넉 사 원숭이의 식사로 도토리를 주는데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준다니까 싫어하고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준다니 만족해하는 즐거운 우화입니다. 원숭이는 근시안적인 생각으로 우선 4개를 먹을 수 있는 아침이 훨씬 더 이득이라고 생각하지만 결국은 하루에 식사하는 양은 똑같은 7개입니다. 이처럼 주인의 꾀로 인해 둘 다 만족해하는 결과를 얻게 되.. 더보기
'마음을 터놓고 사귀는 친구' 간담상조(肝膽相照)뜻과 유래 요 점 간과 쓸개는 우리가 볼수없는 아주 깊은곳에 있지요. 그런데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일 정도로 숨김없이 보여줄수 있는 절친이라는 뜻에서 간담상조(肝膽相照)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또한 간과 쓸개가 서로 도움을 준다는 뜻으로도 사용합니다. 간과 쓸개는 우리말에서 마음속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자주 쓰이는데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자신의 이익을 쫓아 이쪽에 붙었다 저쪽에 붙었다 하는 지조 없는 행동을 가리킬때도 사용하고 정신 차리지 못한 인간을 가리켜 ‘쓸개 빠진 녀석’이란 표현으로도 사용하는 속마음을 나타낼때 사용합니다. 간담상조 뜻 肝 : 간 간 膽 : 쓸개 담 相 : 서로 상 照 : 비칠 조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귀는 벗 관계를 말합니다. 한자 .. 더보기
한자-낭중지추 (囊中之錐) 뜻과 유래 가정교육이 주머니속의 송곳을 만들다 요 점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뾰족한 송곳은 가만히 있어도 반드시 뚫고 나오듯이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은 남의 눈에 띔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이처럼 뛰어난 사람은 어디 가든 돋보인다는 뜻으로 이 성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전국시대 말에 초나라와 조나라가 동맹을 맺어 진나라에 복수하게 되는데 동맹을 맺는 과정에 삐걱거릴 때 평소에 눈에 띄지도 않아서 낭중지추 하지 못함을 지적받고 못 올뻔한 모수라는 사람이 가볍게 동맹을 성사시킨 것에서 비롯하여 낭중지추가 유래되었습니다. 낭중지추 뜻 囊: 주머니 낭 中: 가운데 중 之: 갈 지 錐: 송곳 추 뛰어난 인물은 송곳과도 같아 주머니 속에 숨겨도 송곳 끝은 뚫고 나오기 마련이라는 뜻입니다.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띄게 됨을 이르는 말입.. 더보기
과유불급(過猶不及)뜻과 유래 과유불급 뜻 過: 지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과유불급은 두 가지의 뜻으로 사용합니다. 첫째 넘치는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넘치거나 모자람은 적당치 않다는 점에서 꼭 같다는 말입니다. 둘째 넘치는것은 부족함만 못하다. 부족한 술잔은 채우면 되지만 넘쳐 버린 술잔은 그대로 버리게 됩니다. 또 십리 를 덜 갔다면 십리를 더 걸으면 목적지에 도착하지만 목적지를 지나쳐 십리를 더 간 사람은 목적지까지 돌아오기 위해 모두 이십 리를 더 걸어야 한다는 뜻으로 모자람이 넘침 보다 낫다는 뜻이지요. 바꿔 말하면 넘침은 모자람보다 더 나쁘다는 뜻이 됩니다. 과유불급 유래 과유불급은 논어에 나오는 말입니다. 공자의 제자 중에 자장이라는 사람은 매사에 적극적이고 과시욕이 강했습니다. 그래서.. 더보기
'와신상담'은 한자가 어려워서(臥薪嘗膽) 와신상담 뜻 臥: 누울 와 薪: 섶 신 嘗: 맛볼 상 膽: 쓸개 담 "짚단에 누워 쓴 쓸개 맛을 본다"는 뜻으로 복수나 목표를 위해서 자신에게 찾아오는 모든 고난을 참고 이겨내는 사람을 의미 합니다. 오직 복수를 목표로 자신의 인생을 포기하고 괴로운 상황을 견딘 고통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독한 사람을 표현할 때 많이 쓰입니다. 실패를 맛보거나 어려운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굳은 의지나 또 마지막까지 목표를 향해 힘든 순간을 견디고자 스스로에게 다짐하는 말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와신상담의 유래 춘추전국시대 양쯔강 하류에는 오나라와 월나라가 서로 가까이 위치해 있었지만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항상 원수처럼 서로를 헐뜯고 전쟁을 일삼았습니다. 오나라 왕 합려가 주.. 더보기
'한자'오월동주(吳越同舟) 뜻과 유래 알아보기 오월동주 뜻 吳 : 오나라 오 越 : 월나라 월 同 : 한가지 동 舟 : 배 주 오월동주는 오나라와 월나라는 하늘 아래 함께 할 수 없는 철천지 원수였는데 오나라와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탄다는 뜻입니다. 같은 배에 탓을때 폭풍이 불어 닥치면 서로 돕지 않으면 배가 뒤집힐 위기에 몰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같은 배를 탄 두 사람은 공동의 목적을 위해 서로 힘을 합쳐 사지에서 벗어나고자 어쩔수 없이 노력할 것입니다. 오월동주는 바로 이러한 상황을 빗대어 사지 에서는 원수지간이라도 힘을 합치게 된다는 뜻입니다. 오월동주의 유래 춘추시대 5대 강대국에 속했던 오나라와 월나라는 서로 국경을 맞대고 있었지요. 오나라의 합려와 월나라의 윤상은 서로 원한이 있는 사이였는데 윤상 죽고나자 그의 아들 구천이 오나.. 더보기
양자강에 빠진 검 '각주구검' (刻舟求劍 ) 뜻과 유래보기 아무리 바꾸고 싶어도 방법이 없는게 융통 성이란 생각이 드네요. 양자강에 빠진 검을 찾고자 뱃전에 표시를 한 초나라 젊은이의 한계를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 그 초나라 첢은이는 검을 찾기위해 나름 최선을 다했지 만 헛된 방법에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승선객들은 그 젊은이의 행동을 비웃으며 나온 이야기가 《각주구검》 입니다. 꼭 검이 아니더라도 융통성이 필요한일은 곳곳마다 널려있지요. 한번은 알바하는 회사에서 넗은 곳에 양초를 올려놓고 숫자를 파악하는데 한친구가 그것을 하나하나 세고 있자 그것을 본 다른친구가 볼펜과 종이에 가로 곱하기 세로하니까 1분도 채 않되어 수백개의 답을 알아냅니다. 하나하나를 센 친구도 얼마든지 곱하기를 할수 있었지만 그 장소 그 상황에 생각이 나질 않았던가 봅니다. 그 융통성이 .. 더보기
사면초가(四面楚歌) 뜻과 유래 요 약 한나라 유방 초나라 항우 그리고 한신 그 당시에 참 많은 고사성어들이 탄생했었지요? 오늘에 고사성어 역시 그때 배경입니다. 전국시대 진나라가 6개국을 통일하지만 무너지고 새로운 제후들이 나타났지요. 최후에 한나라 유방과 초나라 항우의 싸움이었는데 항우는 70번의 전투에서 한번도 패하지 않는 용맹한 장수였습니다. 그러나 이전에 항우의 수하에 있던 용맹한 한신이 한나라 유방을 돕고 지략가 장량이 유방을 도와 항우는 완전히 무너지게 됩니다. 사면초가 뜻 四: 넉 사 面: 낯 면 楚: 초나라 초 歌: 노래 가 어려움에 빠져 옴짝달싹할 수 없는 처지 사방이 적에게 포위당해 고립되어 있거나 몹시 어려운 일을 당해 극복할 방법이 전혀 없는 곤란에 처한 상태를 비유하는 말이다. 사면초가 유래 중국 사기의 항우본.. 더보기
"고사성어"다다익선(多多益善) 뜻과 유래 관련된표현 ◇ 다다익선 머릿글 많을수록 좋은게 뭐라고 생각하세요?. 이글을 포스팅 하면서 생각해보니까 많을수 록 좋은게 돈 이나 물질적인거 외에도 참 많 다는걸 알 수 있었어요. 우선 친구는 많을수 록 좋지요. 주어지는 기회 역시 많을수록 좋고 지식도 많을수록 좋지요. 노력은 많이 할수록 결과 좋으니까 당연히 좋을 것이고 그 외에도 많을수록 좋은것은 부지기 수로 많더 라구요. 무엇보다 오늘날 가장 필요한 다다익 선은 사랑(아카페)이 아닐까 싶네요. 사랑이 많다면 사회적으로 도덕적이지 못한 일들은 일어나지 않을것이고 그러면 사회 분위기가 좀더 살만한 세상으로 바뀔테니까 아카페 사랑은 많을수록 좋겠습니다. 다다익선 뜻 多: 많을 다 多: 많을 다 益: 더할 익 善: 착할 선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는 뜻입니다."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