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2]사자성어 퀴즈 초성게임^^(답안지)결자해지"結者解之" 1단계 답안지 1. 일구이언 [ 一口二言 ] 2. 작심삼일 [ 作心三日 ] 3. 일심동체 [ 一心同體 ] 4. 팔방미인 [ 八方美人 ] 5. 풍전등화 [ 風前燈火 ] 6. 일조일석 [ 一朝一夕 ] 7. 문일지십 [ 聞一知十 ] 8. 선견지명 [ 先見之明 ] 9. 청산유수 [ 靑山流水 ] 10. 감언이설 [ 甘言利說 ] 많이 맞추셨나요? ㅉㅉㅉ 이단계입니다. 2단계 답안지 1. 목불식정 [ 目不識丁 ] 2. 우유부단 [ 優柔不斷 ] 3. 확고부동 [ 確固不動 ] 4. 우공이산 [ 愚公移山 ] 5. 절차탁마 { 切磋琢磨 } 6. 고진감래 [ 苦盡甘來 ] 7. 청렴결백 [ 淸廉潔白 ] 8. 일편단심 [ 一片丹心 ] 9. 함흥차사 [ 咸興差使 ] 10. 용두사미 [ 龍頭蛇尾 ] 고생하셨습니다. ㅉㅉㅉ 결자해지'.. 더보기 [1]사자성어 퀴즈 초성게임 ^^ 일상생활에서 학생도 엄마 아빠도 직장인도 모두가 필요한 게 사자성어, 고사성어이지 요. 그런데 한자[漢字]라서 어려워 하시는 분들이 아주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사자성어와 좀 쉽게 가까워 질수 있 게 간단히 풀어볼 수 있는 사자성어 초성 게임을 해보려고 합니다. 단계별로 나누에 봤어요. 자신에게 맞는 레벨 찾아보세요. 1단계 1. 한입으로 두말을 하여 이랫다 저랫다 일관성이 없이 말한다는 뜻 (ㅇ 구 ㅇ 언 ) 2. 마음을 먹은지 3일을 넘기지 못하고 결심 한 것을 포기한다는 뜻 ( ㅈ 심 ㅅ 일 ) 3. 마음과 몸이 하나라는 뜻 ( 일 ㅅ ㄷ 체 ) 4.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 ( ㅍ 방 미 ㅇ ) 5. 바람 앞에 등불 아슬아슬한 위기를 말함 ( ㅍ 전 ㄷ 화 ) 6. 하루아침 하루 저녁처럼 아주.. 더보기 과유불급 "예문모음" 뜻과 유래 과유불급 뜻 過: 지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두가지 뜻으로 사용하지요 "넘치는 것은 부족함과 같다" 그리고 "넘치는것은 부족함만 못하다" 대부분 후자를 많이 사용합니다. 과유불급의 "예문" * 대부분 오지랖을 부리다 쫌 손해났을때 흔히 하는 말이지요 "넘치는것은 부족함만 못하지요." * 몸에 좋다고 건강식품 너무 많이 먹어 부작용 났을때 "넘치는 것은 안하니만 못 해요" * 심하게 다이어트하다 얼굴이 나이들어 보일때 "넘치는 것은 부족함만 못해요" * 큰 고기 잡는다고 깊은곳으로 가다가 낚시도구 빠졌을때 "과유불급 하셨고만" * 마라톤에서 쫌 앞서려다 지쳐 포기하게 될때 "넘치는 것은 부족함만 못해요" * 빨리가려고 갈지자로 운전하다 딱지 끊었을때 "넘치는 것은 부족함만 못해용.. 더보기 [사자성어] 조삼모사 '朝三暮四' 뜻과 유래 요 점 조삼모사는 주인과 원숭이가 식사량을 정하는데 주인의 꾀로 인해 원숭이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 합일점을 찾게 됩니다. 글자대로라면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라는 뜻이지만 전체의 내용을 보면 문제의 핵심보다는 단순하게 눈에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주인의 꾀로 원만한 해결을 하게 됩니다. 조삼모사 뜻 朝: 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물 모 四: 넉 사 원숭이의 식사로 도토리를 주는데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준다니까 싫어하고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 준다니 만족해하는 즐거운 우화입니다. 원숭이는 근시안적인 생각으로 우선 4개를 먹을 수 있는 아침이 훨씬 더 이득이라고 생각하지만 결국은 하루에 식사하는 양은 똑같은 7개입니다. 이처럼 주인의 꾀로 인해 둘 다 만족해하는 결과를 얻게 되.. 더보기 '마음을 터놓고 사귀는 친구' 간담상조(肝膽相照)뜻과 유래 요 점 간과 쓸개는 우리가 볼수없는 아주 깊은곳에 있지요. 그런데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일 정도로 숨김없이 보여줄수 있는 절친이라는 뜻에서 간담상조(肝膽相照)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또한 간과 쓸개가 서로 도움을 준다는 뜻으로도 사용합니다. 간과 쓸개는 우리말에서 마음속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자주 쓰이는데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자신의 이익을 쫓아 이쪽에 붙었다 저쪽에 붙었다 하는 지조 없는 행동을 가리킬때도 사용하고 정신 차리지 못한 인간을 가리켜 ‘쓸개 빠진 녀석’이란 표현으로도 사용하는 속마음을 나타낼때 사용합니다. 간담상조 뜻 肝 : 간 간 膽 : 쓸개 담 相 : 서로 상 照 : 비칠 조 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친밀히 사귀는 벗 관계를 말합니다. 한자 .. 더보기 [연모] 정지운"혼인" 이휘"거기 서라. 나는 멈추라 한적 없다. 어명이다" 충격 18회 6일 오후 방송된 KBS 2TV 월화 드라마 "연모"에서는 정지운(로운)과 이휘(박은빈) 에게 예상했던 난관이 닥치게 됩니다. 이휘와 정지운은 부원군 무덤에서 돌아오다 가 죽었다던 창운군이 자객으로 둔갑하여 여인인지를 확인하고자 이휘의 옷고름을 베었습니다. 위험에 처하자 좌의정, 정지운 (로운)의 아비 정석조에 의해 이휘와 정지운은 구사일생으로 살아남지요. 한편 이휘가 남자를 좋아한다는 소문이 궐내에 퍼져가는데 "사내 둘이 그렇고 그렇고 하는 사이"라고 궁녀들이 수군거리고 이휘와 정지운은 함께 있게 해서는 안된다고 대신들은 우왕좌왕 합니다. 걸음거리 숨소리 조차 자유롭지 못한 궁궐 생활에 요즘에도 말하기 힘든 동성애로 비치니 얼마나 아슬아슬한 상황일지 그림이 그려지지 않나요? 그것도 왕이 말이에요. 이게.. 더보기 '옷소매 붉은 끝동' 이산과덕임, 어릴때 인연을 알게 되어'포옹' 8회 12월 4일 방송된 MBC 금토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제조상궁은 이산(이준호)의 후궁이 되길 거절하는 덕임(이세영)에게 본때를 보이려고 방을 뒤지도록 합니다. 예상 밖으로 덕임의 처소네서 영빈의 유품인 ‘여범’이 나오자 사태는 커지게 되고 중전(장희진)에게도 보고가 올라가자 덕임은 끌려가 중전앞에 무릎을 꿇게 됩니다. 이산은 달려와 덕임의 말을 듣고 믿지 못한다고 말하자 소인에게 조차 한심한 거짓말로 들리니 소인의 주인이 믿지 못하는것도 당여한 것이겠지요.라고 정당하게 하사 받은것 이기에 그책은 제것입니다 라고 당당하고 야무지게 자신을 마음을 전달합니다 또한 증인이 없다하심은 부당한일이며 추상전하께서 증인이시옵니다. 라며 당돌하고 명확하게 자신의 마음을을 똑부러지게 표현합니다. 추상전하가 매병이.. 더보기 한자-낭중지추 (囊中之錐) 뜻과 유래 가정교육이 주머니속의 송곳을 만들다 요 점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뾰족한 송곳은 가만히 있어도 반드시 뚫고 나오듯이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은 남의 눈에 띔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이처럼 뛰어난 사람은 어디 가든 돋보인다는 뜻으로 이 성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전국시대 말에 초나라와 조나라가 동맹을 맺어 진나라에 복수하게 되는데 동맹을 맺는 과정에 삐걱거릴 때 평소에 눈에 띄지도 않아서 낭중지추 하지 못함을 지적받고 못 올뻔한 모수라는 사람이 가볍게 동맹을 성사시킨 것에서 비롯하여 낭중지추가 유래되었습니다. 낭중지추 뜻 囊: 주머니 낭 中: 가운데 중 之: 갈 지 錐: 송곳 추 뛰어난 인물은 송곳과도 같아 주머니 속에 숨겨도 송곳 끝은 뚫고 나오기 마련이라는 뜻입니다.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띄게 됨을 이르는 말입.. 더보기 김연경 선수 중국리그 제대로 한방 중국배구의 돌변 올림픽4강의 신화의 주역인 김연경 선수가 중국에 진출했습니다. 국내 브이리그 대신 중국 여자배구 리그를 택했던 김연경 선수가 최근 4년만에 나선 중국무대 복귀전에 많은 관심이 집중된 와중에 중국배구 협회가 갑자기 돌변해서 김연경 선수의 출전을 제약하는 규정을 도입해 논란이 되었습니다. 도저히 이해할수 없이 바뀐 룰 때문에 졸지에 벤치 신세가 아닌가 하고 한국 팬들의 우려를 감출수 없었습니다. 속이 뻔히 보이는 꼼수에도 넘사벽 실력하나로 상황을 반전시켜버린 김연경 선수의 근황이 코로나로 눌린 기분을 제대로 날려버립니다. 벤치신세 중국 배구협회는 시즌 개막 사흘전 갑자기 외국인 선수 출전 1명을 제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애초에 상하이팀은 김연경선수와 2020 도쿄올림픽MVP를 수상한 미국의.. 더보기 과유불급(過猶不及)뜻과 유래 과유불급 뜻 過: 지날 과 猶: 오히려 유 不: 아닐 불 及: 미칠 급 과유불급은 두 가지의 뜻으로 사용합니다. 첫째 넘치는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 넘치거나 모자람은 적당치 않다는 점에서 꼭 같다는 말입니다. 둘째 넘치는것은 부족함만 못하다. 부족한 술잔은 채우면 되지만 넘쳐 버린 술잔은 그대로 버리게 됩니다. 또 십리 를 덜 갔다면 십리를 더 걸으면 목적지에 도착하지만 목적지를 지나쳐 십리를 더 간 사람은 목적지까지 돌아오기 위해 모두 이십 리를 더 걸어야 한다는 뜻으로 모자람이 넘침 보다 낫다는 뜻이지요. 바꿔 말하면 넘침은 모자람보다 더 나쁘다는 뜻이 됩니다. 과유불급 유래 과유불급은 논어에 나오는 말입니다. 공자의 제자 중에 자장이라는 사람은 매사에 적극적이고 과시욕이 강했습니다. 그래서..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다음